현장갤러리

소방점검- 비상방송설비

안녕하세요. 현대소방입니다.

20240506 081529

[인터엠 비상방송설비]

비상방송설비는 연면적 3500㎡, 11층이상, 지하층의 층수가 3층이상에는 모든층에

설치하여 경보설비와 자동화재탐지설비와의 기준보다는 큰대상물에 설치.

화재시 비상방송으로 화재 사실을 인지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피난유도합니다.

즉 규모가 있는 건물일수록 유동인원이 많아 비상방송설비로 화재시 안내방송을

함으로써 피난지연시간을 단축합니다.

피난지연(가능)시간

image 1

(비고) W-> 분

W1 : 방제센터 등 CCTV 설비가 갖춰진 통제실의 방송을 통해 육성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경우

또는 훈련된 직원에 의하여 해당 공간 내외 모든 거주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육성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경우

W2 : 녹음된 음성 메시지 또는 훈련된 직원과 함꼐 경고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W3 : 화재경보신호를 이용한 경보설비와 함꼐 비 훈련 직원을 활용할 경우

이와 관련 소방청에선 대피방법 개선을 위해 아파트 화재특성을 고려

아파트 비상방송설비 자동 안내방송 개선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40506 081909

비성설비 설치기준은

1. 확성기(스피커)의 음성입력은 3W(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 이상일 것

2.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3.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4.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5. 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6. 증폭기 및 조작부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로서 점검이 편리하고 방화상 유효한 곳에 설치할 것

7.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 각 목에 따라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가.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경보를 발할 것

나.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다.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8.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화재 시 비상경보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9.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애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

10.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각각의 조작부가 있는 장소 상호간에 동시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하고, 어느 조작부에서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전 구역에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11.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

12. 음향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른 구조 및 성능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가.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을 할 것

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법제처

옥내용 확성기(스피커)

[옥내용 확성기(스피커)]